1.


역사철학테제, Walter Benjamin,
앙겔루스 노부스


1
사람들 말에 의하며 어떤 장기 자동기계가 있었다고들 하는데,

기계는 어떤 사람이 장기를 두면 그때마다 그 반대 수를 둠으로써

언제나 이기게끔 만들어졌었다. 터어키의상을 하고 입에는 水煙

을 문 인형이 넓은 책상 위에 놓여진 장기판 앞에 앉아 있었다.

거울로 장치를 함으로써 이 책상은 사방에서 훤히 들여다볼 수 있

다는 환상을 불러일으키게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장기의 명수

인 등이 굽은 난쟁이가 그 책상 안에 앉아서는 줄을 당겨 인형의

손놀림을 조종하였다. 우리는 철학에서도 이러한 장치에 대응되는

것을 상상할 수가 있다. 항상 승리하게끔 되어 있는 것은 소위 <

역사적 유물론>이라고 불리어지는 인형이다. 이 역사적 유물론은,

만약 그것이 오늘날 왜소하고 못생겼으며, 그렇기 때문에 어떻게

해서라도 그 모습을 밖으로 드러내어서는 안되는 신학을 자기의

것으로 이용한다면, 누구하고도 한판 승부를 벌일 수가 있을 것이

.

 

2

로체에 의하면 인간이 지닌 심성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

는 개별적 사물들에 대한 숱한 이기심과 함께 모든 현재가 일반적

으로 미래에 대해 부러움과 선망을 가지고 있지 않는 데 있다고

한다. 이러한 성찰을 좀더 진전시키면, 우리들이 품고 있는 행복의

이미지라는 것은, 우리들 자신의 현재적 삶의 진행과정을 한때 규

정하였던 과거의 시간에 의해 채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

들에게서 선망의 마음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행복은, 오로지 우리

들이 숨쉬었던 공기 속, 그러니까 우리가 한때 말을 나눌 수도 있

었던 사람들과 우리들 품에 안길 수도 있었던 여인들과의 관계 속

에서 존재한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행복의 이미지 속에는 구원의

이미지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함께 꿈틀거리고 있는 것이다.

사가 주로 관심을 가지는 과거의 이미지도 이와 동일한 양상을 하

고 있다. 과거는 구원을 기다리고 있는 어떤 은밀한 목록을 함께

간직하고 있다. 우리들 스스로에도 이미 지나가 버린 것과 관계되

는 한줄기의 바람이 스쳐 지나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우리들 귀

에 들려오는 목소리 속에서는 이제 침묵해 버리고 만 목소리의 한

가락 반향이 울려퍼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 우리들이 연연하는 여

인들은, 그녀들이 미처 알아채지 못했던 누이들의 모습을 하고 있

는 것은 아닐까? 만약 그렇다면 과거의 인간과 현재의 우리들 사

이에는 은밀한 묵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셈이고 또 우리는 이 지구

상에서 구원이 기대되어지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앞서 간 모든

세대와 마찬가지로 우리들에게도 희미한 메시아적 힘이 주어져 있

, 과거 역시 이 힘을 요구할 권리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물로

이러한 요구는 값싸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사적 유물론자는 이 사실을 너무나 잘 알고 있다.

 

3

사건의 크고 작음을 구별함이 없이 모든 사건을 처음부터 끝까지

얘기하는 연대기 기술자는 다음과 같은 사실, 즉 이 지상에 어젠

가 일어난 모든 일은 하나도 빠짐없이 역사에서 주목되어야 한다

는 진실에 공정하고 있는 셈이다. 물론 과거가 완벽하게 기록될

수 있는 것은 인류가 구원되고 난 연후이다. 다시 말해 구원된 인

류만이 그들의 과거의 하나 하나를 남김없이 인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시 되살아나는 과거의 한순간 한순간은 그날, 즉 최후의

심판이 이루어지는 날의 일정표의 인용문이 될 것이다.

 

4

우선 의식주를 얻도록 노력하라. 그러면 신의 왕국은 스스로 열릴

것이다. - 헤겔

 

마르크스에 의해 훈련을 받은 역사가가 항상 염두에 두고 있는 계

급투쟁은 조야하고 물질적인 것들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싸움이다.

이러한 싸움없이는 고상하고 정신적인 것들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상하고 정신적인 것들은, 계급투쟁 속에서

승리자의 손에 굴러 떨어진 전리품의 이미지와는 다른 양상을 하

고 있다. 그것은 신뢰, 용기, 유우머, 기지, 불굴성으로서 이러한 투

쟁 속에서 생생하게 살아 움직이고, 또 지나가 버린 머나먼 과거

의 시간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덕목들은, 지배자에게

굴러떨어진 일체의 승이에 언제나 새로이 의문을 제시할 것이다.

마치 꽃들이 해를 향하듯, 과거 또한 알 수 없는 종류의 신비스러

운 向日性에 힘입어, 바야흐로 역사의 하늘에 떠오르는 바로 그

해를 향하려고 하고 있다. 역사적 유물론자는 모름지기 모든 변화

들 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지 않는 이러한 사소한 변화에 정통하지

않으면 안된다.

 

5

과거의 진정한 像은 휙 스쳐 지나가 버린다. 다만 우리는, 그것이

인식되어지는 찰나에 영원히 되돌아올 수 없이 다시 사라져 버리

, 마치 섬광처럼 스쳐 지나가는 상으로서만 과거를 붙잡을 수

있을 뿐이다. <진리는 우리들로부터 달아나 버리지 않을 것이다> -

고트프리트 켈러에서 연원하는 바로 이 말은 역사적 유물론을 관

통하는 역사의 이미지를 단적으로 말해 주고 있다. 왜냐하면 현재

에 인식되지 못했던 모든 과거의 상은 언제든지 현재와 함께 영원

히 사라져 버릴 위험에 직면해 있기 때문이다.

 

6

지나간 과거의 것을 역사적으로 표현한다는 것은 <그것이 도대체

어떠했던가>를 인식하는 것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어떤

위험의 순간에 섬광처럼 스쳐 지나가는 것과 같은 어떤 기억을 붙

잡아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역사적 유물론에서 문제

가 되는 것은, 위험의 순간에 역사적 주체에 예기치 않게 느낫없

이 나타나는 과거의 이미지를 꼭 붙잡는 것이다. 위험은 전통의

내용에서뿐만 아니라 전통의 수용자에게도 닥쳐온다. 이 양자는

하나같이 동일한 위험, 즉 지배계급의 도구로 이용될 위험에 직면

하고 있다. 어떠한 시기든, 바야흐로 전통을 압도하려는 타협주의

로부터, 언제나 새로이 전통을 싸워서 빼앗으려는 시도가 행해지

지 않으면 안된다. 메시아는 구원자로서만이 오는 것이 아니다.

는 반그리스도의 극복자로서도 오는 것이다. 과거로부터 희망의

불꽃을 점화할 수 있는 재능이 주어진 사람은 오로지, 죽은 사람

들까지도 적으로부터 안전하지는 못하리라는 것을 투철하게 인식

하고 있는 역사가뿐이다. 그런데 이들 적은 승리를 거듭하고 있다.

 

7

고난과 비참의 메아리가 울려 퍼지는 이 골짜기의 암흑과 혹한을

생각하라. - 브레히트, [서푼짜리 오페라]

 

퓌스텔 드 쿨랑지는 역사가에게, 만약 그가 지나간 한 시대를 체

험해 보고자 하면 모름지기 그 후에 일어난 일체의 역사적 진행과

정을 아예 머리에서 떨쳐버릴 것을 권고하고 있다. 역사적 유물론

이 파괴했던 역사방법론의 성격을 이보다 더 단적으로 말해주는

발언도 없을 것이다. 그것은 바로 감정이입의 역사방법론인데,

방법론의 근원은 심장의 나태, 즉 순간적으로 스쳐 지나가는 진정

한 역사적 이미지를 붙잡는 데 절망함으로써 생겨난 태만이라는

병이다. 중세의 신학자들에게 이 병은 멜랑코리의 근원으로 간주

되었다. 이러한 병에 친숙했었던 플로베르는 <카르타고를 소생시

키기 위해 내가 어는 정도 슬퍼지지 않으면 안되었던가를 짐작할

수 있는 사람은 아마 극소수에 불과할 것이다>라고 쓰고 있다.

러한 슬픔의 본질이 무엇인가는 다음과 같은 질문, 즉 역사주의의

신봉자들은 도대체 누구의 마음이 되어 보려고 감정이입을 하는가

하는 질문을 던져 본다면 한층 더 명확해질 것이다. 대답은 두말

할 나위 없이 승리자의 마음이 되어 보기 위해서인 것이다. 그런

데 그때마다의 새로운 지배자는 그들 이전에 승리했었던 모든 자

들의 상속자이다. 따라서 승리자의 마음이 되어 본다는 것은 항상

그때마다의 지배자에게 유리하게 됨을 뜻한다. 이로써도 역사적

유물론자는 그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언제나 승리를 거듭해온 사람은, 땅바닥에

누워 있는 사람들을 짓밟고 넘어가는 오늘날의 지배자의 개선 행

령에 함께 동참하고 있는 것이다. 전리품이란 지금까지 으레 그러

했던 것처럼 이 개선행렬에 함께 따라다닌다. 우리가 문화유산이

라고 일컫는 것은 바로 이 전리품을 두고 하는 말인 것이다. 이러

한 문화유산을 역사적 유물론자는 일전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비판

적으로 관찰한다고 보아야 하는데, 왜냐하면 그가 문화유산에서

개관하는 것은 하나같이 그에게는 전율 없이는 생각할 수 없는 원

천에서 비롯하고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문화유산의 현존재는

그것을 창조한 위대한 천재들의 위대한 노고뿐만 아니라, 이름도

없는 동시대의 부역자들의 노고에도 힘입고 있는 것이다. 야만의

기록이 없는 문화란 있을 수 없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한번도 없

. 문화의 기록 자체가 야만성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처럼 이

사람 손에서 저 사람 손으로 넘어가는 전승의 과정 또한 이와 조

금도 다를 바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역사적 유물론자는 가능한

한도내에서 이러한 전승으로부터 비켜난다. 그는 결에 거슬리는

역사를 솔질하는 것을 그의 과제로 삼는다.

 

 * 연결

1 / 2 / 3

진보넷 링크 (http://go.jinbo.net/commune/view.php?board=marx-7&id=25&page=1)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