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의 저주받은 천재 정신분석학자 빌헬름 라이히는 그의 저작 <파시즘의 대중심리>를 통해 "대중들은 어째서 자신에 대한 억압을 욕망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문제의 본질을 직시하기보다는 손쉽게 믿고 맹목적으로 나아가는 대중의 비합리적이고 도착적인 욕망이 파시즘적인 정치 지도자를 불러왔다고 빌헬름 라이히는 지적한다. 프랑스와 한국에서 각각 사르코지와 이명박이라는 인물들이 열광적인 지지를 얻어 대통령이 된 지금의 상황을 이처럼 잘 설명하는 논리가 있을까.

정신적으로 아픈 민중들이 정신착란적인 지도자를 불러왔다는 논리인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그의 해법은 아주 단순하다. 즐거움에 근거한 노동을 하는 것이다. 그는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는 사람들은 삶과 노동의 적대관계를 해소할 수 있으며, 그런 사람들의 노동은 생물학적 활동욕구를 최대한 발전시켜 자연스럽게 성 욕구를 해방시킴으로써 성격구조가 경직되는 것을 막는다고 말한다.

지극히 상식적인 논리를 펼쳤을 뿐이지만 라이히는 미치광이로 낙인찍혀 학계로부터 추방당하고 미국의 한 감옥에서 죽어갔다. 죽을 때까지 사랑과 노동과 지식이 우리 생활의 원천이라고 주장하며.

실로 미쳐 돌아가는 이 세상을 구할 수 있는 세 가지가 바로 사랑과 노동과 지식인 것을! 가만히 있으면 중간이라도 가고, 성적이 학과를 결정하고, 연봉이 행복을 측정하는 도구인 사회에서 그건 점점 더 불가능해지고 있다. 욕망은 끊임없이 조작되고 개인이 지닌 자발적 의도는 시간이 갈수록 희미해진다.

나의 진정한 욕망을 파악하는 것은 아주 사소한 데서부터 시작된다. 내가 좋아하는 색깔, 옷, 반찬, 영화, 작가, 길, 동네, 나무에 이르기까지. 내가 진정으로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 일일이 묻고 그 목록을 다 모아보면, 자기만의 색깔이 무엇인지 조금씩 드러나게 된다.

나의 색깔을 찾아가는 여정에서 가장 유의해야 할 것은 '한 우물' 이데올로기의 강박으로부터의 탈출이다. "한우물을 파야한다."는 시대를 초월하는 금과옥조이다. 살면서 이 주장에 대해 감히 시비거는 사람 몇 못봤다. 그러나 한우물 파기 싫으면 어떡해야 하는지, 그 우물에서 아무것도 안 나오면 어떡할 건지에 대해서는 답해주지 않는다. 다행히도 자기가 처음 파기 시작한 우물에서 계속 재미있는 게 나오면 좋겠지만, 안 그럼 사람들이 더 많지 않은가. 지조없이 연애도 많이 했고, 또 지조없이 여러 우물을 파면서 살아온 나한테는 언제나 이 경구가 마음의 짐이었다.

그걸 어느날 희완이 훌훌 떨치게 해주었다. 문학, 연극, 사진, 문화정책, 흙건축 참 난 너무 여러 우물을 파는 것 같다, 이러면 안되는데... 이렇게 잠시 회의하는 나에게 희완은 말했다. "얼마나 좋아. 하고 싶은 게 많다는 거. 그리고 그걸 다 해볼 용기가 있다는 거. 그럼 너의 인생은 얼마나 풍요롭겠니."

오호, 그렇다. 관점을 전환하면 그렇게 된다. 집단의 관점에서 보면 사람들이 한 영역씩 맡아서 한우물을 죽어라 파주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러나 각 개인의 관점에서 보면, 그건 어쩌면 지루하기 짝이 없는 인생일 수도 있다. 난 이 거대한 사회의 나사가 아니다. 나혼자서도 하나의 거대한 우주를 구성할 수 있다. 여러 우물을 파면서, 세상의 모든 재미를 두루 즐기면서.

- 목수정, <뼛속까지 자유롭고 치맛속까지 정치적인치맛속까지 정치적인
- 프랑스 남자와 결혼하지 않고 살아가기> .2008.  레디앙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