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가 나를 말한다

이처럼 사소한 원칙을 세우기 위해, 변방의 식민지는 오랜 세월을 상처 받고 위협당하고, 싸우고 다치고 다시 일어서야 했습니다. 페미니즘의 세련된 전략이자 목표가 여성의 언어에 의한 자기규정이듯이, 글쓴이는 '한겨레의 말에 의한 한겨레' 를 주장합니다.

이 책의 주장은 다음의 두 가지입니다. 우리말은 외래어에 의해 오염되고 있고 이에 반해 농촌, 노동자, 입말은 비교적 오염이 적은 우리말에 가깝다는 거지요. 따라서 일상과 유리된 전문가들의 글말을 멀리 하고, 하는 말과 쓰는 글이 같은 말의 민주화 (입말) 을 이루자는 것입니다. 그런 전제 아래, 연변어, 한국 지식사회의 언어, 일본어, 한문, 영어 등 외래말과 권력, 상업어의 실제 쓰임을 하나씩 들어 비판/수정을 가합니다.

책이 곱지만은 않아요. 시대가 변한 만큼, 근대화만큼이나 지구화가 거역할 수 없는 흐름이 된 만큼. 글쓴이의 주장을 비판없이 받아들일 수만은 없지요.

그러나 논쟁적인 책인 것만은 분명합니다. 정말이지 본질적인 문제제기 아닌가요.

내가 나를 규정할 때, 타자의 언어를 빌어서밖에 규정할 수 없다면. 서글픔을 넘어서 필연적인 불완전함을 수반하겠지요. 농민이 혁신, 아웃소싱, 인간자원으로 자신의 일을 완전히 설명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듯이, 그리고 오해를 수반하듯이 말입니다.

책을 읽고 나니 글을 쓸 때, 꼭 한번쯤은 더 생각하게 됩니다.

그것만으로도 추천의 이유가 되겠네요. 누구에게나, 그 정도 넓이로 일상에 충격을 주는 책은 많지 않을테니까.


* 연결
Aladdin MyBook Review (http://www.aladdin.co.kr/blog/mypaper/1052030)

우리말 바로쓰기 1, 이오덕, 1992, 한길사
우리말 바로쓰기 2, 이오덕, 1992, 한길사
우리말 바로쓰기 3, 이오덕, 1995, 한길사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찾기 (http://www.korean.go.kr/06_new/dic/search_input.jsp)
- 네이버도 편하지만 '공인' 국립국어원은, 정말이지 훌륭합니다.

영어를 공용어로 삼자, 복거일, 2003, 삼성경제연구소
- 영어공용화에 대해서는 할 말이 많습니다. 복거일의 책은 본격적인, 그리고 여론화된 문제제기를 했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그리고 전 복거일과는 다른 맥락에서 (물론 전적으로는 아니지만) 공용화론에 찬성합니다. 조만간 공용화론에 대한 글을 올리겠습니다.


AND